아티클

접근성 장애 환경 분류

2011-03-28 13:49:04

이 자료는 WebAIM(http://www.webaim.org)에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분류 자료를 필요에 맞고 간단하게 재구성한 것입니다. WebAIM은 유타주립대학 내에 있는 CPD(th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es) 에 속한 비영리 기관으로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웹접근성 관련 제품 제공 및 컨설팅, 리포팅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각장애

시각장애는 크게 전맹, 저시력, 색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맹

시력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어느 정도 시력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 그것을 활용하지 않는다. 컴퓨터 사용시 모니터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마우스로 어디를 클릭해야 할 지 모른다.

전맹자를 위한 보조공학기기

  1. 스크린리더
  2. 점자인식기
    점자인식기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일반적으로 마우스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키보드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한 UI를 구현해야 한다.
  2. 사진이나 그래프 등의 이미지 정보는 인식이 어려우므로 대체 텍스트 또는 설명글을 제공한다.
  3. 스크린리더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정보를 건너 뛸 수 있도록 스킵 기능을 제공하고 음성으로 듣기 편한 텍스트를 제공한다.
  4. Frame은 한번에 알아보기 어려우므로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고 꼭 사용해야 할 경우 타이틀을 함께 제공한다.
  5. Table안의 데이터가 많을 경우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th>를 꼭 사용하고 <th>가 행과 열 중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 명시한다.

저시력

안경이나 렌즈를 통해서도 교정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나이가 많을 수록 발생할 확률이 높다.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
눈 안쪽에 위치한 망막이라는 중심부위에 흠이 생겨 중앙부위가 보이지 않게 된다.
* 황반변성의 이상 부위와 보이는 상태
이상 부위보이는 상태
황반변성의 이상부위 황반변성일 경우 보이는 상태1 황반변성일 경우 보이는 상태2
녹내장 (Glaucoma)
눈 안의 압력이 증가하여 시신경이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황반변성과 반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변시야를 보기 힘들며 중앙시야는 흐리게 보이기 때문에 텍스트를 읽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 녹내장의 이상 부위와 보이는 상태
이상 부위보이는 상태
녹내장의 이상부위 녹내장일 경우 보이는 상태1 녹내장일 경우 보이는 상태2
당뇨병성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이 오래 지속된 결과로 망막 혈관에 구멍이 생겨 글씨가 군데군데 검거나 번져 보이게 된다.
* 당뇨병성 망막증의 이상 부위와 보이는 상태
이상 부위보이는 상태
당뇨병성 망막증의 이상부위 당뇨병성 망막증일 경우 보이는 상태1 당뇨병성 망막증일 경우 보이는 상태2
백내장 (Cataract)
눈의 수정체가 흐려져서 안개가 낀 것 같이 보이게 된다. 밝을 때 더욱 그렇고 높은 대비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백내장의 이상 부위와 보이는 상태
이상 부위보이는 상태
백내장의 이상부위 백내장일 경우 보이는 상태1 백내장일 경우 보이는 상태2

저시력인들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및 보조기술

  1. 화면확대경
  2. 고대비 화면 설정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텍스트나 이미지가 확장가능하도록 하고 이미지 내의 텍스트 사용은 지양한다.
  2. 저시력인들은 텍스트와 배경색으로 임의로 세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색상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3. 가로스크롤의 발생은 화면확대경으로 윈도우 전체를 탐색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가로 스크롤의 사용을 자제하고 절대수치보다는 상대수치를 사용한다.

색맹

색맹은 적녹색맹이 가장 보편적이긴 하나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모든 양상을 고려할 필요는 없으며, 색상차이를 이용해서만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피한다. 색약은 색맹보다 정도가 덜한 경우를 말한다.

적녹색맹 (Red-green deficiencies)
적색과 녹색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밝은 녹색과 어두운 적색을 구분하는 것은 좀 더 쉬우며 어두울수록 구분이 어렵다. 몇몇의 경우는 적색과 녹색을 황색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장 영향이 적은 색은 파랑이다.
제1색맹, 제1색약 (Protanopia and protanomaly)
장파장 색상(적색)에 대해 민감하지 못하다. 황색이나 더 어두운 적색으로 보인다.
* 정상인과 제1색맹인의 시야 대조
정상인제1색맹
정상인의 시야 제1색맹의 시야
제2색맹, 제 2색약 (Deuteranopia and deuteranomaly)
중파장 색상(녹색)에 대해 민감하지 못하다. 녹색이 황색으로 보이며 제1색맹과는 달리 더 어둡게 보이거나 하지는 않는다.
* 정상인과 제2색맹인의 시야 대조
정상인제2색맹
정상인의 시야 제2색맹의 시야
다른 종류의 색맹
제3색맹 (Tritanopia)
일반적이지는 않은 케이스이다. 단파장 색상(청색)에 민감하지 못하여 청색과 녹색의 구분이 어렵고 색상이 흐릴 경우, 황색과도 구분이 어렵다.
* 정상인과 제3색맹인의 시야 대조
정상인제3색맹
정상인의 시야 제3색맹의 시야
전색맹 (Rod monochromacy or achromacy)
추상체가 전혀 기능을 못하여 색의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명암대비로만 시각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아주 극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해당된다.
* 정상인과 전색맹인의 시야 대조
정상인전색맹
정상인의 시야 전색맹의 시야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적색과 녹색의 구분이 어려운 것이 보통이나 다른 색상의 구분도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케이스를 고려하기보다는 색상만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 대한 설명, 혹은 다른 형식의 동일 정보를 제공한다.

청각장애

청각장애는 크게 난청 정도에 따른 분류와 난청 유형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난청 정도에 따른 분류

Mild hearing loss
30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특히 배경음을 이해하기 어렵다.
Moderate hearing loss
50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보청기를 착용해야 한다.
Severe hearing loss
80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보청기를 이용하더라도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입술모양으로 언어를 인식하거나 수화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Profound hearing loss
청력의 부재로, 95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Severe hearing loss와 마찬가지로 입술모양이나 수화를 통해 언어를 인식한다.

난청 유형에 따른 분류

전음성 난청 (Conductive hearing loss)
소리가 전달되는 부분의 손상, 막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장애이다. 겉 소리가 내부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신경성 난청 (Neural hearing loss ,nerve deafness)
청신경에 이상이 있어 소리정보가 뇌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한다.
고음난청 (High tone hearing loss)
여자 목소리와 같은 고음을 듣고 이해하기 어렵다.
저음 난청 (Low tone hearing loss)
낮은음을 듣고 이해하기 어렵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음성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동영상에는 동기화된 캡션을, 오디오 자료에는 대본을 함께 제공한다.

운동장애

운동장애는 크게 외상으로 인한 장애와 질병, 또는 선천적 조건에 의한 장애로 나뉜다.

외상으로 인한 장애

척수외상 (Spinal cord injury)
자동차 사고나 폭행, 추락, 무리한 운동 등의 원인으로 척수에 이상이 생겨 사지가 마비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장애의 경우 마우스와 키보드를 교묘한 조작이 어려우므로 보조공학기기를 이용하여 웹에 접근한다.
사지절단 및 상해 (Loss or damage of limb)
사지 중 일부 혹은 모두가 절단되었거나 상해를 입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 손만 사용이 가능한 경우 한 손 유저를 위한 키보드도 있지만 양손을 모두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역부족이다. 사지가 마비된 사람과 마찬가지로 보조공학기기에 의존해야 한다.

질병, 선천적 조건에 의한 장애

뇌성마비 (Cerebral palsy)
태아 형성 과정에서, 혹은 출생 직후에 대뇌에 이상이 생겨 근육 조작기능이 마비되거나 감소되는 질병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근육 수축 및 경련, 불수의운동(involuntary movement), 언어능력 장애가 있으며 마비를 동반하기도 한다. 마우스의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키보드에 주로 의지한다.
근육성이영양증 (Muscular dystrophy, MD)
유전적인 영향으로 신체 근육기능이 퇴화되는 장애이다.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어린아이일 때 나타난다. 보조공학기기를 이용하여 웹에 접근한다.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MS)
신경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지방 조직의 손상으로 중앙신경계에서 근육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 질병으로 운동기능 뿐 아니라 언어 및 기억 능력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이분척추 (Spina bifida)
임신 초기 태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척추골 사이의 공간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결과로 등 뒤가 부풀어오른 것 처럼 보이거나 혹이 생길 수 있고 운동 장애, 사지마비, 경우에 따라서는 언어 장애까지 동반하기도 한다.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ALS -Lou Gehrig's Disease)
근육의 퇴화로 운동신경 자극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질병이다. 말과 행동이 느려지고 숨쉬기가 곤란하여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관절염 (Arthritis)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에 지장은 없으나 링크 영역이 작을 경우 마우스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파킨슨 병 (Parkinson's disease, PD)
중앙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손의 떨림을 제어할 수 없거나 근육이 경직되는 현상을 말한다. 마우스는 전혀 사용할 수 없고 키보드나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웹에 접근할 수 있다.
본태성진전 (Essential Tremor, ET)
파킨슨 질병과 같이 신경에 이상이 생겨 손의 떨림을 제어할 수 없는 상태를 발한다. 본태성진전의 경우 상반신 떨림이 주로 발생한다. (손, 팔, 머리, 후두)

운동장애인들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Mouth stick
입으로 스틱을 고정하고 고무로 되어있는 끝부분을 움직여 사용한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조공학기기이다.
Mouth stick
Head wand
Mouth stick과 동작 방식은 유사하지만, 스틱을 고정하는 부위가 입이 아닌 머리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Head wand
Single-switch access
신체활동이 굉장히 제약을 받을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머리만 움직일 수 있는 경우 스위치를 머리 옆에 두고 머리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보낸다.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야 깔려있어야 하고 문장의 자동완성 기능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Single-switch access
Sip and puff switch
작동방식은 Single-switch access와 Single-switch access가 한가지의 신호만 보낼 수 있는 것과는 달리, Sip and puff switch 불고 빠는 두 가지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Sip and puff switch
Oversized trackball mouse
이 마우스는 장애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더 편리한 웹서핑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마우스 중앙의 큰 부위를 움직여 일반 마우스 전체를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versized trackball mouse
Adaptive keyboar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와는 달리, 키 부분이 들어가 있고 키를 구분하는 영역이 볼록 나와있는 형태의 키보드이다. 키 영역을 누르지 않고 스치면 키가 입력된다. 키의 사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문장 자동완성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Adaptive keyboard
Eye-tracking
Head wand와 마찬가지로 신체활동이 매우 제약을 받을 경우, 동공의 움직임과 눈의 깜빡거림 등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Mouth stick과 Head wand에 비하여 덜 보편적인 보조공학기기다.
Eye-tracking
Voice recognition software
말을 통해 컴퓨터를 콘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운동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근육이상으로 인해 느리게 말을 하고 또렷한 발음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컴퓨터가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잠재적 문제를 안고 있다.
Voice recognition software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키보드만으로도 접근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2.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더라도 교묘한 조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작거나 움직이는 링크의 사용은 피한다.
  3. 보조공학기기의 도움을 받아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은 쉽게 지칠 수 있으므로 긴 리스트나 콘텐츠는 스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적장애

지적장애는 기능적인 지적장애와 임상적인 지적장애나뉜다.

임상적인 지적장애

  1. 자폐증
  2. 다운증후군
  3. 외상으로 인한 뇌 손상
  4. 치매
  5. 주의결여장애
  6. 난독증
  7. 난산증
  8. 학습장애

의학적 관점에 의존하는 임상적 지적장애는 기능적 지적장애에 비하여 웹 개발분야와 연관성이 떨어지고 개선의 여지가 적으므로 웹접근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장애 범주에서 제외한다.

기능적인 지적장애

기억력
기억력에 장애가 있을 경우 한 번 보였다 사라지는 콘텐츠에 대해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콘텐츠의 전체적인 내용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킬 수 있도록 간략한 요약본을 제공한다.
  2. 분리된 페이지간의 이동 시 이전, 다음이라는 문구보다는 페이지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한다. (e.g. 이전:결제배송정보, 다음:주문조회)
문제 해결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한 경우 404에러나 링크 오류가 났을 시 쉽게 주저하고 주저한 결과에 대해 낙담한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문제가 왜 발생했으며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는지 방법을 설명한다.
  2. 예측 가능하고 자주 발생하는 실수(e.g. 검색어 오타)는 의도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주의력
스크롤링이 되거나 깜빡거리는 콘텐츠로 인해 메인 콘텐츠의 접근이 방해될 수 있다. 꼭 필요한 곳에 한정적으로 사용하고 메인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주요 콘텐츠는 강조한다.
  2.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광고나 스폰서 링크는 가능한 지양한다.
  3. 주요 콘텐츠가 아닌 곳에서의 요란한 이미지 사용은 자제한다.
언어 이해력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언어 이해력의 차이는 사람마다 너무 달라서 아무리 쉽고 명료한 문장을 사용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 존재한다. 이럴 경우, 시각 자료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보충자료를 활용한다.(일러스트, 아이콘, 비디오, 오디오 자료 등)
  2. 의미있는 태그(<h>, <ul>, <ol>, <dl> 등)의 사용으로 콘텐츠의 이해를 높인다.
  3.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한다.
시각자료 이해력
시각자료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 시각자료가 의미하는 바를 인식하지 못하고 시각자료를 하나의 객체로만 인식한다. 이럴 경우, 동적이거나 나래이션이 추가된 영상이 효과적이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콘텐츠는 다양한 포멧으로 제공한다.

발작

깜빡거리거나 반짝이는 이미지의 사용으로 맥박이 빨라지고 중앙신경계에 영향을 준다. 꼭 발작 증세가 아니더라도 멀미와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솔루션

  1. 깜빡거리거나 플래시 이펙트가 사용된 이미지, 애니메이션, 영상 등은 최대한 피한다.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