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점자의 미래 3: 전자 점자의 미래를 제시하는 eBraille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엔비전스입니다.
<전자 점자의 현재와 미래>를 시작하며 디지털 시대에 점자는 어디까지 왔으며 전자 점자의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다룰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지금까지 두 편의 글을 통해 점자가 걸어온 디지털화의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점자의 디지털화 과정에 과거와 현재를 살펴본 것입니다.
이번 세 번째 글부터 본격적으로 전자 점자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 것인지에 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새로운 전자 점자의 미래를 상징하는 eBraille 표준을 중심으로 새로운 디지털 점자 표준은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에 대해 기술적인 측면과 사용성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알아볼 예정입니다.
eBraille은 무엇인가?
eBraille은 점자를 위한 디지털 출판 형식으로, EPUB 3을 기반으로 하여 XML 구조를 채택한 점이 특징입니다.
XML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표준화, 유연성, 그리고 호환성 이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eBraille은 XHTML, CSS, 이미지, 오디오 등의 웹 표준 기술을 활용하여 점자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다양한 점자 정보단말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점자 문서를 점자 정보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문서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쉽고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미지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촉각으로 실시간 표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시각장애 사용자가 다양한 이미지를 손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Braille 표준은 독서 장애인을 위한 대체 자료 포맷인 DAISY의 표준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DAISY Consortium 이 eBraille를 구성해 주도합니다. 그리고 eBraille Working Group에는 DAISY Consortium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장애 단체와 기업이 참여합니다. 현재 eBraille의 버전은 1.0 이며 아직 정식 버전으로 채택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후 기술적 사양은 얼마든지 병경될 수 있습니다.
eBraille의 개발 배경
디지털 형태로 점자를 출력하는 기존의 점자 정보단말기는 대부분 한 줄에 점자 텍스트를 표현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줄로 점자를 동시에 표현하는 것은 물론 여러 줄의 점자 표현을 응용해 표와 음악 악보, 이미지 등의 시각 정보를 점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점자 정보단말기가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의 APH(American Printing House for the Blind) 가 주도하고 Humanware가 개발한 Monarch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출처: APH(American Printing House for the Blind)
출처: Bristol Braille Technology
여러 줄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점자 정보 단말기의 출현에 따라 eBraille은 기존 한 줄 점자 정보단말기와 호환되면서Monarch와 같은 여러 줄 점자 디스플레이에서 텍스트와 동시에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일 형식이 필요해졌습니다. 이것이 eBraille이 만들어진 이유입니다.
왜 중요한가?
오늘날 교육과 직업 생활에서 시각화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능력은 개인에게 중요한 역량입니다. 또 과학, 수학, 엔지니어링, 즉 STEM에 대한 지식은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시각장애 학생들도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과학과 수학은 방대한 시각적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를 점자 텍스트로만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스크린 리더의 경우 표와 같은 데이터는 키보드 내비게이션으로 데이터 구조를 이해할 수 있긴 하지만, 실제 시각 데이터 레이아웃을 파악하는 것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eBraille은 여러 줄 점자 정보단말기와 결합해 텍스트와 시각적 데이터를 촉각으로 실시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직관적으로 시각화된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결국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STEM 분야에 대한 접근 기회를 확대합니다. 이를 통해 교육과 직업 세계에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디지털 점자가 제공할 수 있는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EPUB 3 구조 간략히 살펴보기
eBraille은 앞에서 잠깐 언급했듯EPUB 3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문서 형식입니다.따라서eBraille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EPUB 3에 관해 간략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EPUB 3은 전자책 출판의 표준 형식으로,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디지털 출판 포맷입니 다.
- ● 주요 특징:
- ○ XHTML과 CSS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며,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합니다.
- ○ 콘텐츠를 패키징하여 하나의 ZIP 파일로 압축하고, 메타데이터와 구조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package.opf 파일을 통해 관리됩니다.
- ○ 압축된 패키지 파일의 확장자는 .EPUB입니다.
- ● 장점:
- ○ 접근성: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과 호환되며, 텍스트 확대 및 음성 변환 기능을 지원합니다.
- ○ 다양한 화면 크기의 디바이스 지원: 태블릿, 스마트폰, 전자책 리더기 등에서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EPUB 3은 eBraille의 기반이 되는 표준으로, 점자 콘텐츠의 디지털화와 확장성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Braille의 기본 구조
eBraille와 EPUB의 차이점
EPUB 3와의 주요 차이점은 당연하게도 eBraille이 점자 콘텐츠를 위해 설계되었다는 점입니다:
eBraille의 디렉터리 구조
eBraille의 파일 구조는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eBraille의 문자 인코딩
eBraille은 점자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해 유니코드 점자 문자를 사용합니다. 6점 점자와 8점 점자를 모두 지원하며, 텍스트 콘텐츠는 아래와 같은 문자 범위로 제한됩니다:
이러한 인코딩 방식은 언어에 따른 점자 콘텐츠를 표준화하며 디바이스 간 호환성을 높이고, 읽기 환경을 최적화합니다. 유니코드 점자 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다양한 언어와 점자 규칙에 따라 적응 가능합니다.
글을 마치며
eBraille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며, 이것은 디지털 점자 콘텐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eBraille에서 활용 가능한 미디어 형식과 이 표준이 디지털 점자 기술의 발전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더 깊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 eBraille은 EPUB 3 표준과 대부분 유사한 파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eBraille 파일은 EPUB 3의 기본 요소인 패키지 문서(package.opf), 네비게이션 문서(index.html), 그리고 XHTML, 일부 CSS 스타일, 이미지, 오디오 등의 콘텐츠 리소스를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점자 콘텐츠를 다채롭게 하고,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 ● 메타 정보: eBraille은 Dublin Core와 접근성 메타데이터(a11y:)를 통해 저자, 언어, 점자 시스템 등의 필수 정보를 포함합니다.
- ● EPUB 3와의 호환성: 기존 EPUB 리더는 eBraille 콘텐츠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만, eBraille은 점자 특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 패키징의 유연성: EPUB은 일반적으로 ZIP 컨테이너에 파일을 압축하지만, eBraille은 패키징 없이 디렉터리 구조만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 물론 eBraille로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점자 특화 메타데이터: eBraille은 a11y:brailleSystem, a11y:tactileGraphics와 같은 점자 특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합니다.
- 6점/8점 점자 지원: eBraille은 점자 유니코드 문자(U+2800…U+28FF)를 기반으로 한 점자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 index.html: 내비게이션 문서로, 디렉터리의 루트에 위치합니다.
- ● package.opf: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문서로, 루트에 위치.
- ● 리소스 디렉터리: 점자 콘텐츠(XHTML), 스타일(CSS), 이미지(SVG/PNG) 등이 저장됩니다.
- ● 점자 패턴: U+2800 ~ U+28FF
- ○ U+2800은 공백 점자를 나타내며, U+28FF는 점자 셀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합니다.
- ○ 6점 점자는 상단 6개의 점을 사용하며, 8점 점자는 하단 두 개의 점을 추가로 사용합니다.
- ● 공백 문자: 공백(SPACE), 탭(TAB), 줄 바꿈(LF)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