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제 12회 널리 웨비나

AI 접근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 AI & Accessibility for Human-Centered Digital Inclusion

Accessibility is a Human Right UN은 접근성을 국제 인권법상 '접근 권리'에 포함시켰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을 넘어서 모든 사람이 디지털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AI는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사람과 기술의 만남에 있는 접근성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AI 기술을 통해, 우리는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장벽을 넘어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오늘보다 더 나은 평등한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서로를 포용하면서 나아가고자
'AI 접근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을 위해 함께 방법을 모색해 보겠습니다.

Designing Inclusive AI for Marginalized Population

소외계층을 위한 AI 시스템 포용적 디자인의 사례 및 난제를 모색해 봅니다.

김영호 NAVER AI Lab
  1. 01 김영호 NAVER AI Lab Designing Inclusive AI for Marginalized Population 소외계층을 위한 AI 시스템 포용적 디자인의 사례 및 난제를 모색해 봅니다.
  2. 02 김예지 국회의원 정보 접근성 보장에 관한 21대 국회 입법 사례 및
    22대 국회 입법 현황
    정보 접근성 보장을 위해 상정된 21대 국회 입법 사례 및 22대 국회 입법 현황을 살펴봅니다.
  3. 03 김형섭 엔비전스 AI 시대의 필수 토대: 기본 접근성 구현의 중요성 AI 시대의 접근성 변화를 중심으로 모든 사용자가 효과적인 기술
    활용을 위해 기본 접근성 원칙 준수가 얼마나 중요(필요) 한 지
    확인합니다.
  4. 04 이선주 N Tech Service KWCAG 2.2 개정에 따른 추가 지침과
    널리 접근성을 위한 노력
    KWCAG 2.2의 업데이트된 항목들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살펴보고 널리에서 접근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소개합니다.
  5. 05 이경준 Google Chrome/OS Accessibility with AI AI를 활용한 크롬 및 크롬 OS 접근성 기능에 대해 공유합니다.
  6. 06 전선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접근성 향상을 통해 모두를 인터넷에 연결해서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N 차원의 노력을 알아봅니다.
  7. 07 오유란 이화여자대학교 시각 장애인들의 웹툰 감상을 위한 작지만 큰 걸음 시각 장애인들도 몰입감 있게 웹툰을 즐길 수 있도록 AI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