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Chat GPT를 활용해 장애인이 받을 수 있는 도움 사례

엔비전스 접근성 2024-04-19 10:10:04

안녕하세요. 엔비전스입니다.

최근 들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챗봇 활용이 매우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 대표적인 예시가 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ChatGPT입니다.

ChatGPT는 자료 검색, 정보 요약 등을 다양한 사용자들이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입니다. 이를 접근성 관점으로 바라보면 단순히 정보를 검색하고 대답하는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ChatGPT가 어떻게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ChatGPT는 무료 버전의 3.5와 유료 버전 4 두 종류가 존재합니다, 아티클에서는 좀 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료 버전을 구독해야 이용할 수 있는 ChatGPT 4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 모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걸 우선으로 하나 기능과 정보량의 한계점이 차이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구조 설명

이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가 아닐까 싶은데요. 기본적으로 키보드와 스크린 리더를 통해 인터넷을 탐색하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페이지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 중 하나입니다. 웹페이지에 따라 이에 걸리는 시간이 짧을 수도, 매우 길어질 수도 있죠.

질문, 어둠 속의 대화 페이지 링크, 해당 페이지에서 주메뉴를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돼? 챗지피티 답변, 웹페이지에서 주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상단에 위치한 전체메뉴 열기 링크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링크를 선택하면 전시소개 북촌 동탄 커뮤니티 sns 스토리 인재 채용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된 주메뉴가 확장되어 표시됩니다.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탭키를 이용하여 이 링크까지 이동한 다음 엔터키를 눌러 메뉴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ChatGPT 4는 예시와 같이 링크 내 웹페이지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간단한 페이지 구조를 알려 줄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다음 사용법을 보겠습니다.

정보 요약

긴 문서나 복잡한 정보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대부분 사용자의 가독성을 떨어뜨립니다. 시각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상황의 사용자라면 더욱 마찬가지인데요.

질문, 어둠 속의 대화 페이지 링크, 해당 페이지 내용을 한글로 요약해 줘. 챗지피티 답변, 어둠 속의 대화 한국 전시 연혁 페이지는 2010년 신촌에 세계에서 열 번째로 오픈한 영구 전시관을 시작으로 북촌 동탄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을 소개합니다. 수상 내역과 국제 전시 표준 인증 획득 사실도 언급합니다. 특히 한국에서 누적 방문객 수 70만명을 돌파하여 세계에서 연간 방문자 수로 세 번째를 기록했다고 밝히며 2021년 동탄에 두 번째 전시관 개관 소식도 전합니다.

예시와 같이 ChatGPT 4에게 문서 형식으로 글을 제공하거나 링크를 제공해 해당 문서의 요약을 요구할 시 중요한 포인트를 짚어주며, 간단하게 핵심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는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집중력이 약하고 산만한 사용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hatGPT 4는 제공받은 링크만으로 사용자가 직접 탐색하는 것만큼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전달해 주지는 못합니다. 제공된 정보와 조건이 얼마나 상세하냐에 따라 그 대답 역시 달라지겠지만,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질수록 "쉽고 빠르게"라는 인공지능의 장점 역시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웹페이지 탐색은 단순히 정확도만이 목적이 아닌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많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빠르게 웹을 탐색하고 내용을 간단하게 훑어 받아들이는 것을 취미로써 즐깁니다. 문제점은 시각 장애인들처럼 일부 사용자들은 이런 단순한 활동에서부터 장벽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인데요. 만약 다소 섬세함이 떨어지더라도 빠른 시간에 웹페이지를 훑어보기를 원한다면 앞서 말한 방식으로 ChatGPT 4를 이용해 웹페이지를 간단하게 요약해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미지 설명

여기 한 장의 사진이 있습니다. 그리고 시각 장애인 사용자들에게 대체 텍스트가 없는 이런 이미지는 빈 공간에 가깝습니다. 만약 대체 텍스트가 제공된 이미지라면 사용자가 어느 정도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만들어 주지만 사용자가 이미지 설명을 원하는 이미지에 대체 텍스트가 달려 있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이미지에서 원하는 만큼의 정보를 얻으려면 주변인의 도움이 불가피한데요.

ChatGPT 4는 사용자가 전송한 이미지를 분석해 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진은 이미지를 전송한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이며, 최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했을 때의 대답입니다.

챗지피티 답변, 사진 속에는 일몰의 아름다운 순간이 담겨 있습니다. 화면 중앙에는 둥근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떠 있으며 주변 하늘은 따뜻한 오렌지와 금색으로 물들어 있습니다. 태양과 대조되는 실루엣은 한 사람이 바위 위에 서서 카메라로 이 순간을 담으려는 모습입니다. 이 사람은 오른손에 카메라를 들고 왼손은 카메라 상단을 쥐고 있습니다. 바위는 견고하고 거친 표면을 보이며 물결치는 바다는 그 배경에 희미하게 나타납니다. 이 사진은 대조와 색상의 조화로움, 그리고 자연의 장엄함과 인간의 활동이 어우러지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조금 바꿔 보겠습니다. 다음 사진은 사용자가 이미지 대체 텍스트를 삽입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며, 이를 위해 최대한 짧고 간결한 이미지 설명을 요구했을 때의 대답입니다.

챗지피티 답변, 대체 텍스트, 바위 위에 서서 일몰을 사진 찍는 사람의 실루엣. 하늘은 따뜻한 오렌지색으로 물들어 있으며 태양은 지평선 가까이 둥근 모습으로 떠 있습니다.

이처럼 ChatGPT 4는 같은 이미지를 전송해도 전송하는 사용자에 따라 그에 맞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같은 인공지능을 통해 실생활에 접근성이 필요한 사용자와 접근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색상 설명

빨간색 원 안에 1번 숫자, 푸른색 동그라미 안에 2번 숫자, 노란색 동그라미 안에 3번 숫자를 가진 아이콘 세 개가 나열된 이미지

또 한 장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사용자가 색각이상자라면 각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는 읽을 수 있으나 어떤 색의 원 안에 들어 있는지는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색맹이며 구체적인 색상 설명을 요구해 보겠습니다.

챗지피티 답변, 이미지는 세 개의 원형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아이콘 중앙에는 순서대로 1, 2, 3의 숫자가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아이콘은 밝은 빨간색 배경에 흰색 숫자 1이 있습니다. 두 번째 아이콘은 밝은 파란색 배경에 흰색 숫자 2가 있습니다. 세 번째 아이콘은 밝은 노란색 배경에 흰색 숫자 3이 있습니다. 모든 아이콘은 검은색 배경 위에 위치해 있어 숫자들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간단히 보면 앞선 이미지 설명과 비슷해 보이지 좀 더 구체적으로 이미지 안에 있는 모든 요소를 색상으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질문을 바꿔 보면 어떨까요? 혹시 해당 이미지에 접근성 문제가 있는지 물어보겠습니다.

챗지피티 답변, 색맹 사용자, 특히 적색 녹색 색맹이나 전체 색맹인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색상 기반의 시각 정보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적록색맹 사용자의 경우 빨간색과 녹색 사이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빨간색 아이콘 1번과 노란색 아이콘 3번을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각 숫자 옆에 유니크한 모양이나 패턴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들이 색상에 의존하지 않고도 각 아이콘을 식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아이콘에 대한 명확한 텍스트 설명을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이미지 한 장만으로 질문에 따라 이미지를 설명하기도, 문제점을 짚어 주기도 합니다. 이처럼 ChatGPT 4에게 용도에 따라 질문의 내용을 여러 번 바꿔 본다면 훨씬 더 사용자가 원하는 대답을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hatGPT 4에서 찾을 수 있는 접근성은 몇 가지로 정확히 정의해 내기 어렵습니다. 앞선 예시들을 보셨다시피 인공지능은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또 사용자가 어떤 질문을 했냐에 따라 정보의 질과 양이 매우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어디까지나 모두 가능성의 영역일 뿐, 사용자가 직접 물음을 해야만 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특성상 정보의 정확성을 걸러내는 것 역시 사용자의 몫인데요. 때문에 때에 따라 도움이 될 수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접근성에서는 장애인들의 선택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다룹니다. 할 수 없는 것들을 할 수 없다 단정하지 않고 비장애인들과 같은 선택을 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접근성의 목적과 같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활용법은 사용자들이 모든 면에서 훨씬 더 나은 사용성을 가지고자 할 때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해주세요.